통계
[설문] 대학생‧직장인 83% “공모전 취업 큰 도움”
대학생 및 직장인들은 공모전에 대해 능력계발과 스펙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매력이며 취업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.
공모전포털 ‘씽굿’(www.thinkcontest.com)과 취업·경력관리 포털 ‘스카우트’(www.scout.co.kr)가 공동으로 대학생 및 직장인 493명을 대상으로 지난 5월 27일부터 6월 17일까지 ‘공모전 인식’에 대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8명은 ‘공모전이 취업에 도움이 된다’고 밝혔다.
먼저 각종 공모전에 참여하면 얻을 수 있는 가장 매력적인 요소에 대해 응답자의 58.4%가 ‘능력계발, 스펙, 이직 등에 도움’을 가장 많이 꼽았다. 공모전이 스펙관리나 역량개발에 도움이 된다고 믿고 있다는 것이다.
다음으로 ‘많은 시상금’(18.9%)을 들었으며 이외에 ‘프로젝트 수행능력 향상’(6.3%), ‘새로운 것에 도전 기회와 열정’(5.5%), ‘해외여행 등 특별한 특전 기회’(4.7%), ‘아이디어 꾼으로 인정받을 수 있음’(3.0%), ‘기업실무 체험 및 이해 기회’(2.0%) 등의 순을 선택한 것으로 조사됐다.

공모전 도전경험과 수상실적이 취업에 얼마나 도움이 될까? 이 질문에 응답자들은 ‘매우 좋은 스펙’(61.7%)과 ‘도움이 되는 스펙’(21.7%)이라는 답변을 합쳐 총 83.4%의 응답자가 공모전이 취업의 효과적인 전략으로 생각하고 있었다. 반면 ‘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’(5.1%)나 ‘전혀 도움 되지 않는다’(3.9%)는 의견은 그리 많지 않았다.
● 공모전의 가장 큰 매력은? 능력계발과 스펙 업의 기회
● 공모전 입상자들에게 주최사 입사특전 바람직, 확대해야
● 도전해 보고 싶은 공모전은 앱, 브랜드네임, 슬로건, 사진
● 공모전 사회적 역할 ‘창의적 인재발굴과 고용창출 기회’
공모전 입상자에게 특채 또는 입사특전을 주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의견이 훨씬 많았다. 응답자의 40.4%가 ‘기업과 도전자에게 모두 바람직하다’고 밝혔으며, 21.5%는 ‘창의적인 인재선발 위해 더욱 확대돼야 한다’고 생각했다.
이는 10명 중 6명이 공모전 수상자들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답한 셈이다. 반면 부정적인 답변으로 ‘형평성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’(16.6%)와 ‘좋지 않은 것 같다’(9.5%)는 의견이 25% 정도를 차지했다.
그렇다면 요즘 어떤 공모전에 관심을 가지고 있을까? 대학생 및 직장인들에게 ‘공모전에 도전해 본다면 가장 한 번 해보고 싶은 분야’를 묻자, IT(앱, 프로그램, 게임) 분야(13.6%), 브랜드네임‧슬로건 분야(13.0%), 사진 분야(12.0%), 홍보대사‧블로거‧마케터 등(10.3%) 등 비교적 쉬운 분야를 많이 선택했다.
이어 중간 선호도 분야에서는 아이디어 분야(전략, 기획, 정책제안, 마케팅기획 등)(9.7%), 광고, 포스터 분야(8.5%), UCC영상 분야(8.1%), 글쓰기 분야(수기, 콘텐츠, 스토리텔링 등)(7.9%) 등이 꼽혔고, 이외에 디자인(일반 디자인, 웹툰, 만화 등)분야(7.1%), 논문 및 리포트 분야(6.3%), 기타(3.4%) 등으로 나타났다.
평소 각종 공모전에 대해 참여해 보고 싶은 생각에 대해서는 ‘적극 참여해 보고 싶다’(6.7%)와 ‘기회가 되면 참여해 보고 싶다’(52.9%)는 의견을 합쳐 10명 중 6명 꼴로 참여의사를 밝혔으며 ‘관심은 있지만 망설여진다’는 의견은 31.6%, ‘참여할 생각 없다’는 답변은 8.7%로 나타났다.
공모전에 참여하기 힘든 가장 큰 이유로는 ‘작품 제작할 스킬이 부족해서’(38.3%)가 1위를 차지했다. 2위에는 ‘좋은 아이디어가 없어서’(24.9%)라고 밝혔다.
그 외에도 ‘자신감 부족’(9.5%), ‘너무 어렵다고 느껴져서’(8.3%), ‘대학생 등 일부만 참여하는 걸로 알아서’(6.9%) 등의 의견이 뒤를 이었으며 ‘시간을 낼 수 없어서’(3.0%), ‘공모전 정보 얻기 힘들어’(1.4%) 등의 답변도 있었다.
한편, 공모전을 개최하는 주최사의 구체적인 이미지에 대해 ‘홍보마인드가 뛰어난 곳’(24.7%), 진취적인 마인드를 가진 곳(23.7%), ‘소통능력이 뛰어난 곳’(21.9%) 등에 대한 생각이 많았으며 이외에 ‘고객, 국민의 생각 존중 지향하는 곳’(9.1%), ‘열린 정책을 가진 곳’(7.9%), ‘신뢰할 수 있는 곳’(6.9%) 등을 선택했다.
공모전이 갖는 가장 중요한 사회적 역할을 묻는 질문에는 가장 많은 38.3%의 응답자가 ‘창의적 인재발굴과 고용창출 기회’를 꼽는 것으로 조사됐다. 또 ‘국가 지식아이디어 축적 기능’(21.1%)이라는 답변도 많았다.
이외에 ‘젊은이들의 도전과 참여정신 배양’(17.8%), ‘기업의 사회공헌, 장학사업’(6.7%), ‘권위해체와 수평적 국민의견 반영’(6.3%), ‘새로운 커뮤니케이션 창구 기능’(5.5%), ‘창의적 사회와 문화 촉진’(2.8%)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.
글_이동조 기자 / 설문협찬_스카우트(www.scout.co.kr)
번호 | 제목 | 글쓴이 | 날짜 | 조회 |
---|---|---|---|---|
75 | 올 상반기 공모전 6,298건 진행, 정직원 채용 62건 | 편집부 | 2022.07.13 | 6451 |
74 | [통계] 상반기 서포터즈 선발 773건 진행 | 편집부 | 2022.05.27 | 11988 |
73 | '콘텐츠 공모전' 총 517건 분석해 보니! | 편집부 | 2022.04.20 | 14709 |
72 | [통계] '메타버스 관련 공모전' 46건 분석 | 편집부 | 2022.03.16 | 13164 |
71 | 2021년 공모전 총 13,160건 … 6~7월 최고 | 편집부 | 2022.01.18 | 8823 |
70 | 숫자로 보는 2021년 공모전의 모든 것 | 편집부 | 2021.12.01 | 9071 |
69 | 한 해 글쓰기 공모전 1,312건 개최 풍성 | 편집부 | 2021.10.28 | 8819 |
68 | 지난 1년간 '취업특전' 공모전 329건 | 편집부 | 2021.08.28 | 8883 |
67 | 2021 우리 시대 어떤 아이디어 모집하고 있을까? | 편집부 | 2021.07.25 | 8956 |
66 | [통계]상반기 대외활동 공모전 풍성 | 편집부 | 2021.06.26 | 8873 |
65 | 1등 시상금 ‘1천만 원 이상’ 수두룩! | 편집부 | 2021.05.30 | 8991 |
64 | [통계] 대외활동 공모전 연간 3,796건 진행 | 편집부 | 2021.05.01 | 9590 |
63 | 오랜 역사와 전통 공모전 무엇이 있나? | 편집부 | 2021.03.30 | 9677 |
62 | 굿바이 2020! 통계숫자로 말하는 공모전 이야기 | 편집부 | 2020.12.02 | 12102 |
61 | 씽굿 2020 최고 인기누린 톱10 조회수 공모전은? | 편집부 | 2020.11.02 | 11956 |
60 | 올해 ‘코로나19’ 관련 공모전 615건 개최! | 편집부 | 2020.09.27 | 13000 |
59 | 창업분야 공모전 연중 100건 이상 진행 | 편집부 | 2020.08.30 | 11342 |
58 | 해마다 공모전 큰 폭으로 증가해요! | 편집부 | 2020.08.02 | 12615 |
57 | 콘텐츠공모전 모집 분야 다양해졌어요! (1) | 편집부 | 2020.06.29 | 11382 |
56 | “코로나 시대, 공모전 개최는 더 늘었다!” | 편집부 | 2020.05.31 | 11461 |
댓글 (0)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