공모전 상세보기
2022년 치매인식개선 어린이 그림 공모전 코칭가이드
조회수 : 5139
주최 | 경기도, 경기도광역치매센터 |
---|---|
주관 | 경기도광역치매센터 |
응모분야 |
예체능 |
접수방법 |
홈페이지 |
참가자격 |
초등학생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재학생 |
시상종류 |
현상공모 |
접수기간 | 2022-07-01 ~ 2022-08-19 |
1등 시상금 | 50만원 |
홈페이지 | 경기도광역치매센터 |
공모요강
2022년 치매인식개선 어린이 그림 공모전
경기도와 경기도광역치매센터는 치매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치매환자와 가족이 함께
안전하게 살아갈 수 있는 치매 친화적 사회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
치매 인식개선 어린이 그림 공모전 「야! 너도 (치매파트너) 할 수 있어!」를 개최합니다.
경기도 내 초등학생과 부모님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.
● 응모 자격
- 경기도 소재 초등학교 재학생(2022. 6. 30.기준)
● 응모 주제
- 치매환자나 가족을 도울 수 있는 방법
- 치매여도 안전한 치매 친화적 우리동네
● 시상 내역
구분 | 대상 | 최우수상 | 우수상 | 장려상 |
저학년 | 1 | 2 | 3 | 5 |
고학년 | 1 | 2 | 3 | 5 |
※ 시상규모는 지원자의 수 또는 응모작품의 수준에 따라 조정될 수 있음
※ 참가자에게 소정의 선물 지급
● 응모 일정
- 접수기간: 2022. 07. 01. ∼ 2022. 08. 19.
*접수 마감일 소인에 한함
● 제출 방법
- 8절지, 주제와 맞는 그림 자유롭게 표현
● 접수 방법
- 경기도광역치매센터 홈페이지(gyeonggi.nid.or.kr) 공지사항에서 참가신청서 출력
- 작성된 참가신청서를 그림 뒷면에 부착하여 제출
- 우편 발송 주소: (16207)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경수대로 1150 경기도인재개발원 신관1층 경기도광역치매센터
● 심사 방법
심사기준 | 배점(100점) | 심사내용 |
적합성 | 25 | · 작품이 응모 주제에 적합한가 |
창의성 | 25 | · 나이에 맞는 창의성과 상상력이 풍부한가 |
완성도 | 25 | · 작품 구성의 조화, 색채의 아름다운 조화가 잘 되었는가 |
표현력 | 25 | · 주제가 잘 표현된 작품인가 |
※ 치매파트너 홈페이지 또는 치매체크 어플에서 치매 파트너 온라인교육 수료하면 가산점 부여(10점)
● 유의 사항
- 어른(선생님, 부모님 등)의 손이 닿지 않은 순수한 어린이 창작 작품
- 제출한 응모작은 일체 반환되지 않음
- 응모작은 타 공모전에 출품되거나 전시되었던 작품은 심사에서 제외
- 출품작 및 입상작은 경기도광역치매센터가 공공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출품 시 이에 동의한 것으로 간주함
● 문의 사항
- 경기도광역치매센터 교육홍보팀 박선지 031-271-7029
이 공모전에 대한 씽굿 코치
초등생들의 제시된 주제로 출품하는 미술 공모전입니다.
포인트1 : 주위 어른이나 선생님의 시각이 아니라 순수한 어린이들의 시각으로 그리면 좋습니다.
포인트2 : 생각의 주제 + 상상력, 생각의 주제 + 추억, 생각의 주제 + 에피소드, 생각의 주제 + 고마움 등의 생각 조합을 통해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는 그림이면 좋아요.
: 제시된 주제를 명확하게, 어린이 그림 공모전 수상작들을 많이 감상해 보세요
수상작품들의 주제, 콘셉이나 수준, 특징, 완성도 등을 꼼꼼히 체크해 보세요.
포인트3 : 학년과 수준에 맞게 잘 그리든 못 그리든 완성도 높게 마무리하시면 좋아요.
포인트4: 각종 대회에서는 강렬하고 색채감있고, 강한 선을 사용하는 것이 눈에 띄어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어요.
포인트5 : 심사기준, 일정과 출품규격, 출품방법을 꼼꼼히 확인한 후 출품하세요.
글_이동조 / 제1호 공모전코칭 전문가 & 전국 대학 공모전 특강, '창의방정식의 비밀', '내 운명을 바꿀 2억짜리 공모전전략', CJ그룹 입사 CIT 창의성 시험대비서 'CIT는 처음이라서- 예제로 익히는 실전 CIT', 선을 넘는 창의력' 등 저자
- 이 공모전의 내용은 주최사의 기획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니 이후 주최사의 자료를 꼭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- 씽굿/Thinkcontest.com/대학문화신문사의 출처표기에 따라서 전재 및 재배포를 할 수 있습니다.